코풀 커뮤니티

1619 이승재_MBL 과학실험 보고서

활동 보고서

이*재

2025-01-06

소금물과 물의 어는점 비교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물과 소금물의 어는점을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센서를 통해 측정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소금물이 물보다 어는점이 낮고 어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는 결과를 도출했습니다. 자유낙하 실험 적외선 감지 센서와 충격 감지 센서를 조합하여 자유낙하 실험을 설계했습니다. 실험 과정에서 공기 저항으로 인해 평균 가속도가 이론값과 다르게 측정되었습니다. 이러한 차이를 바탕으로 실제 환경에서 공기 저항이 물체의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습니다. 회로 설계와 설치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지만 수많은 시도 끝에 성공적으로 실험을 마칠 수 있었습니다 불쾌지수 측정 앱 제작 온습도 센서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불쾌지수를 측정할 수 있는 앱을 제작했습니다. 앱인벤터를 사용하여 온습도 데이터를 기반으로 불쾌지수 변화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했으며, 실험 과정에서 온습도가 상승할수록 불쾌지수도 증가한다는 점을 관찰했습니다. 앱 개발 초기에는 익숙하지 않았으나 점차 익숙해지며 아두이노와 앱의 연동 가능성을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느낀점:이번 실험은 단순히 이론을 공부하는 것을 넘어, 전자공학이 실생활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몸소 체감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습니다. 아두이노와 여러 센서를 활용하여 직접 회로를 설계하고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은 매우 흥미로웠으며,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성취감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실험 전반을 통해 전자공학의 원리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게 되었고, 이 분야에 대한 관심과 탐구 의지가 더욱 깊어졌습니다. 실험 과정에서 가장 크게 느낀 점은, 복잡한 회로를 설계할 때는 실제 부품을 사용하기 전에 시뮬레이션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것입니다. 다양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탐구해 본 결과, 디지털 환경에서 설계와 테스트를 미리 수행하면 실제 실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는 시뮬레이션 도구를 활용하여 설계 과정을 더욱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습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합니다.이와 함께, 실험에서 얻은 데이터를 단순히 해석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이를 실질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다는 목표도 생겼습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에너지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에너지 사용 효율을 분석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데이터를 시각화하거나, 자동으로 에너지 소비를 최적화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과정은 전자공학의 응용 범위를 넓히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이번 실험은 단순한 학습을 넘어, 새로운 도전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실현할 가능성을 열어준 계기가 되었습니다. 앞으로 이러한 경험을 발판 삼아 더욱 깊이 있는 연구와 학습을 지속하며 전자공학 분야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만들어 나가고 싶습니다.

computer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