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풀 커뮤니티

2519 이산

활동 보고서

이*

2025-01-05

물과 소금물의 어는점 비교 실험(화학) -이번 실험의 목표는 물과 소금물의 어는점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실험에서 이용한 원리는 추운 겨울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면 호수는 0도에서 얼기 시작하지만, 바다는 영하 2도에서 얼기 시작하는 현상과 관련이 있다. 소금을 넣었을 때, 소금의 나트륨과 염화이온이 녹으며 흡열 반응이 일어나 어는점이 낮아지는 원리를 기반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실제 실험 결과에서 물의 어는점은 약 4도, 소금물의 어는점은 4도보다 조금 낮은 온도로 나타났다. 이론적으로 예상했던 0도와 영하 2도의 온도는 나오지 않았지만, 소금을 넣었을 때 어는점이 낮아졌다는 점은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실험을 통해 아두이노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측정하고, 물과 소금물의 어는점 차이에 대해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소금물의 어는점이 낮아지는 이유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자유낙하 운동 실험(물리) 이 실험의 목표는 자유낙하운동의 원리를 알아보고, 이를 직접 실험해보는 것이었다. 자유낙하운동은 중력의 영향을 받는 물체가 외부 힘 없이 자유롭게 떨어지는 운동으로, 물체가 공중에서 수직으로 아래로 가속되며 속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운동은 중력에 의해 발생하며, 물체의 초기 속도는 0이고, 중력 가속도(약 9.8m/s²)에 따라 점점 가속된다. 자유낙하운동에서 물체의 이동 거리는 시간의 제곱에 비례해 증가한다는 특징이 있다. 실제 실험 결과에서는 9.8m/s²이 아닌 평균 약 11m/s² 정도의 가속도가 나왔다. 하지만 이 실험을 통해 이론적인 속도인 9.8m/s²과 비슷한 가속도가 나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론으로만 공부하던 자유낙하운동의 원리를 직접 실험을 통해 확인하면서 물리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더욱 커졌다. 특히, 공기 중 마찰이 없는 상태에서 실험을 진행한다면 정말 9.8m/s²의 가속도가 나올지도 궁금해졌다. 앞으로 다른 물리 원리들도 직접 실험으로 증명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post-image
post-image
post-image
post-image
post-image
post-image
post-image
post-image
post-image

앱 인벤터와 아두이노를 이용한 불쾌지수 측정 실험(지구과학) 이 실험의 목표는 불쾌지수에 대해 알아보고, 불쾌지수 알리미 어플을 만들어보는 것이었다. 불쾌지수란 날씨에 따라 인간이 느끼는 불쾌감을 평가하기 위해 기온과 습도를 종합해 계산한 수치로, 불쾌지수가 높아질수록 덥고 답답한 느낌을 받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앱 인벤터는 학기 중 인공지능 기초 시간에 간략히 다뤄봤었는데, 이번 활동을 통해 조금 더 발전된 방식으로 앱을 만들고 사용해보았다. 이를 통해 기계를 다루는 기술뿐만 아니라, 앱을 개발하는 분야에 대한 관심도 더욱 커졌다. 또한, 직접 설계한 아두이노 회로를 활용해 센서를 통해 불쾌지수를 측정해보면서 큰 성취감을 느꼈다. 이번 실험을 통해 내가 관심 있는 분야를 더 명확히 알 수 있었고, 앞으로도 이러한 프로젝트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post-image
post-image
post-image
post-image
post-image
post-image
post-image
post-image
post-image

이번 활동을 통해 느낀점 - 이번 활동을 통해 아두이노를 이용한 피지컬 컴퓨팅 실험을 진행하며, 다양한 분야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경험했다. 특히, 물과 소금물의 어는점 비교 실험(화학), 자유낙하 운동 실험(물리), 앱 인벤터와 아두이노를 이용한 불쾌지수 측정 실험(지구과학) 등 총 3가지 실험을 수행하며 아두이노와 센서들이 얼마나 실생활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지를 깨달았다. 그리고 직접 코딩하고 회로를 설계하며, 실험 도구를 구성해 진행하는 과정에서 큰 성취감을 느꼈고 이 경험은 내가 희망하는 분야인 기계공학에 대한 기대감과 흥미를 한층 더 높여 주었다.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해 더욱 적극적으로 배우고, 다양한 실험과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싶다는 열망이 생겼다.

computerlogo